2005년 8월 27일 토요일
S.S. 반 다인, 그린살인사건
2005년 8월 25일 목요일
콘노 오유키, 마리아님이 보고 계셔 10 - 레이니 블루
나는 울지는 않았지만, 유미가 우산을 잃어버리고 돌아와 바닥을 치는 장면에선 가슴이 찡했다.
서울로 돌아오는 길에 갖고 있던 읽을 거리가 이 책 한 권 뿐이라, 세 번도 넘게 읽었다.
2005년 8월 20일 토요일
호어스트 에버스, 세상은 언제나 금요일은 아니지
그런데 제목을 '세상이 언제나~'가 아니라 '세상은 언제나~'로 정한 특별한 이유가 있으려나.
2005년 8월 17일 수요일
신석정, 촛불 (범우문고 195)
그렇다 보니 수필, 특히 30년대에서 70년대 사이의 수필만을 읽고자 하는 사람은 참 난감한 처지에 놓이게 된다. 일단 원하는 글을 작가 전집 중 한 권만 달랑 사거나, 욕심이 과해 전집을 통채로 사 놓고 몇 년이 지나도록 관심사가 아닌 뒷부분은 래핑도 뜯지 않고 두거나 (ex)근원 김용준 전집의 '조선미술대요'; ), '고등학생을 위한 현대수필' 혹은 '논술에 나오는 우리글' 같은 책을 뒤진다. (ex)요새는 돌베게 출판사에서 나온 '조지훈- 청소년이 읽는 우리 수필 3'을 읽고 있다.) '모던 수필'을 편집한 방민호 님은 서문에서 조선일보 같은 당대 신문이나 '문장' 같은 잡지를 하나 하나 뒤져 좋은 산문을 찾았다 했는데, 보통 독자의 경우 그런 자료에 접근하기도 어렵거니와 그 중에서 좋은 글을 찾아낼 안목도 부족하다. 태학산문선 300번대가 현대 수필이긴 하지만, 아직 두 권 밖에 안 나왔다.
여하튼 나 같은 사람에게 범우문고는 다른 책에서는 도저히 찾을 수 없는 산문이 무진장 쌓여 있다는 점에서 가뭄 속의 단비 같은 시리즈다. 해외 소설 쪽은 저작권 문제는 제대로 해결하고 저렇게 쏟아내는 걸까, 신경쓰일 때가 많지만(...) 한국 수필 쪽은 정말이지 사랑스럽다. 게다가 저렴하기까지 하니.
----
책에 대해 쓰자면 : '아직 촛불을 켤 때가 아닙니다'로 유명한 시인 신석정의 수필 몇 편을 모은 책. 잘 읽히지 않는 글이 몇 있지만, 무릎을 치게 만드는 이런 구절도 있다.
언제나 황혼은 이 마을 서편에 있는 묵은 산장(山將) 밤나무 숲에서 걸어 나온다. 상소산에서 넌지시 내려온 산줄기가 묵은 산장을 병풍처럼 휙 둘러 황개재라는 작은 재가 되고, 나직한 황개재 너머로 푸른 하늘이 가로 길게 눕고, 그 하늘에 능금빛으로 붉은 저녁놀이 삭은 뒤에야 황혼은 겨우 그 재를 넘어서 밤나무 숲을 거쳐 우리 마을을 찾아오게 된다.
'촛불'의 첫 단락이다. 도대체 어떻게 이런 표현이 가능한 걸까? 고심에 고심을 거듭하며 고쳐 썼을까? 즉흥적인 심상을 그대로 옮겼을까? 아, 너무 훌륭하잖아. ㅠ_ㅠ 글 첫머리를 이렇게 시작할 수 있으려면 대체 글을 얼마나 많이/열심히/잘/꾸준히 써야 하는 걸까?
2005년 8월 12일 금요일
Shanna Swendson, Enchanted, Inc.
ISBN: 0345481259
그리하여 도시 생활 일 년. 기업이라기에 민망한 작은 가게를 경영한 케이티의 경험은 세련된 도시에선 경력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케이티의 직속 상사인 Mimi는 쉴새없이 짜증을 내며 케이티를 들들 볶아댄다. 하지만 아무런 성과 없이 집으로 돌아가는 건 부끄러워서 못 하겠다. 다른 일이 있으면 좋겠지만 새 직장 찾기도 쉽지 않다. 한 푼이라도 아끼려고 회사까지 걸어서 출퇴근하고, 도시락을 싸가 혼자 사무실에 앉아 먹는다.
하지만 이 모든 것보다 케이티를 더 괴롭게 하는 일이 있으니, 그것은 바로 뉴욕에 있는(사는?) 괴상망측한 것들이다. 도시 사람들이 주위에 무관심하다는 말은 들었지만, 어떻게 커다란 날개를 단 사람들이 지나가도 아무도 눈길 한 번 주지 않는 걸까? 저쪽 지붕에 앉아 있는 건 틀림없이 가고일인데? 케이티의 눈에는 능글능글 못생긴 아저씨인 사람을 마치 조니 뎁이라도 되는 양 불타는 시선으로 바라보는 도시 아가씨들의 패션 감각은 도대체 어떻게 된 거야?
이제 케이티는 직장 생활의 스트레스로 정신에 문제가 생긴 게 아닌가 하는 걱정까지 하기 시작한다. 그런데 그 때, 이메일로 스카우트 제의가 들어온다. 처음에는 스팸메일이겠거니 하고 삭제하고, 그 다음에는 무슨 일을 제안하는지도 알 수 없는 모호한 내용이 수상하여 외면했지만, 정말 얼토당토않은 이유를 대며 자신에게 스트레스를 쏟아붓는 상사와 또 한 판 하고 나니 더 이상 참을 수 없어, 홧김에 약속을 잡고 스카우트 제의를 한 사람을 만나게 된다.
케이티에게 접근한 기업은 MSI, Inc. 풀어 쓰자면 Magic, Spells, and Illusions 이다. 여기에서 케이티는 놀라운 사실을 알게 된다. (a)세상에는 마법이 실존하고, (b) 마법사며 각종 책에나 나오는 생물들도 존재하지만 (c) 대부분의 사람들은 마법에 의해 '영향을 받을 정도'의 마법만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진실을 보지 못하게 하는 마법에 의해 엘프나 가고일, 능글능글한 얼굴 같은 것을 보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마법을 실행할 수 있는 동시에 마법에 영향을 받는 존재가 바로 마법사다. 그렇다면 케이티는? 그녀는 바로 마법이 '한 톨도 없어서', 마법을 행할 수도 없고 마법의 영향을 받지도 않는 면역자였다!
면역자들은 마법 스펠을 연구하고 판매하는 MSI같은 기업에 필수불가결한 존재다. 간단한 예를 들어, 만약 거래처에서 자신들에게 유리한 조건을 계약서에 써 넣고 잠시 보이지 않는 마법을 건다면, MSI의 마법사들은 모두 마법의 영향을 벗어날 수 없기 때문에 그 조항을 보지 못한다. 이럴 때 면역자들이 옆에서 계약서의 내용을 읽어 주면 자기 눈에 보이는 것과 같은지 비교해 볼 수 있다. MSI는 상당히 높은 연봉을 제시하며 케이티를 스카우트하고, 케이티는 미미에게 속에 있던 말을 다 하고 한결 후련해진 마음으로 새 직장에서 일을 시작한다.
이리하여 케이티는 마침 위기를 겪고 있는 MSI의 일원으로서 거대한 악의 세력에 맞서(잠깐, 이건 농담) 애쓴다. F&SF의 리뷰를 보고 흥미가 동해 구입했는데, 술술 넘어가는 재미있는 책이어서 단숨에 읽었다. '너무나 평범한 사람이 사실은 그 평범함 때문에 특별해진다' 는 설정이 무척 마음에 들었다.
단, Contemporary Romance로 분류되는 데 비해 로맨스랄 부분은 거의 없다 - 주인공이 소개팅을 몇 번이나 하고, 새로이 만난 이 사람 저 사람을 보며 귀엽다고 생각하기는 하지만, 생각밖에 안 한다. -_-; - 지나치게 Contemporary해서 몇 년 뒤엔 잊혀질 듯한 수준/내용인 것이 아쉽지만, 그래도 여름철 잠 안 올때 집어들기에 안성맞춤이다.
2005년 8월 8일 월요일
Neil Gaiman, Sandman 10 : The Wake
2005년 8월 7일 일요일
2005년 8월 6일 토요일
Neil Gaiman, Sandman 6 : Fables and Reflections
'Parliamnt of Books'에 등장한 아기 버전 죽음과 꿈, 아벨과 카인 모습은 팬 서비스인 듯? 정말 귀여웠다. 마지막 에피소드 Ramadan은 코랄린의 작화 담당 맥킨(McKean)의 그림인 것 같다. 다른 권들과 달리 각 에피소드의 작화 담당을 따로 명시하지 않은 듯 한데, 급히 보느라 놓쳤을 수도 있고......일단 다 읽고 나중에 다시 찾아 봐야지.
빨리 다 읽어버리기 아까웠지만 도저히 멈출 수가 없어, '이러면 안 되는데 orz'라고 생각하며 허겁지겁 읽었다. 지금은 8권을 보는 중.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