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10월 30일 월요일
2006년 10월 23일 월요일
죠반니노 과레스끼, 신부님, 우리들의 신부님 2
기억에 남는 이야기를 따로 꼽기 어려울 만큼 좋았지만, 굳이 써 두자면 훈장 에피소드가 특히 감동적이었다. 전쟁의 생환자들이 갖는 양가적인 감정 - 죄책감과 자부심, 부끄러움과 긍지-을 짧고 간단한 이야기 속에 선명하게 녹여냈다.
2006년 10월 12일 목요일
죠반니노 과레스키, 신부님 우리들의 신부님 1
어쨌든 그 만화 몰아서 보는 재미에 군말 않고 병원에 가곤 했다. 병원에 가면 재미있고 따뜻한 이야기를 볼 수 있어서인지, 병원도 따뜻하게 느껴졌었다. 내가 다니던 병원은 주치의 선생님이 옛이야기에 나오는 선량한 의사 같은 분이셨고, 선생님의 어머님이 독실한 천주교 신자셔서 카톨릭 교회 같은 안정감이 있었다. 그러나 옛이야기와 현실은 달라서, 항생제 잘 안 쓰던 선생님은 결국 고향으로 돌아가셨다. - 는 끝이 조금 안타까운 이야기.
시리즈가 완역 출간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여러모로 그 때 생각이 나서 새로 나온 책을 얼른 집어들었다. 이 시리즈는 돈 까밀로라는 덩치 크고 과격하지만 사실은 따뜻한 마음을 가진 신부와 공산주의자 삐뽀네가 티격태격하며 살아가는 작은 마을에서 일어나는 이야기들이 짤막짤막하게 이어지는 옴니버스 형태의 소설이다.
정치적 혼란기를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우울하거나 무겁지도, 가볍거나 성급하지도 않은, 말 그대로 '건강한' 유머가 살아 숨쉬는 멋진 책이니 혹시 아직 접해 본 적이 없는 사람이라면 새로 나온 김에 꼭 한 번 읽어 보길 권한다. 예수님과 대화하는 신부가 주인공이지만 종교가 없는 독자도 즐겁게 읽을 수 있는 (몇 안 되는) 책이라는 점만으로도, 나는 이 책이 걸작이라고 생각한다.
2006년 10월 4일 수요일
2006년 10월 3일 화요일
재스퍼 포드, 제인 에어 납치 사건
대체역사로도, 현대판타지로도 읽히는 흥미진진한 모험담. 책을 좋아하는 독자라면 틀림없이 즐겁게 읽을 책이다. 중간부터는 남은 장수가 줄어드는 것이 안타까웠다. [카르데니오 납치사건]도 어서 나오면 좋겠다.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