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5월 30일 화요일

David Gerrold, Worlds of Wonder: How to Write Science Fiction and Fantasy

데이비드 제롤드의 소설작법 책. 철저히 판타지/SF에 초점을 두고 구체적이고 실용적으로 쓰여진 책이다. 꽤 전부터 틈날 때 조금씩 읽다가, 주말에 앓아 누운 김에 마저 보았다.

챕터 하나하나가 짧고 간명하여 읽는 맛이 있었다. 그 자신도 간결하고 속도감 있는 글을 쓰는 작가 답게, 스타일에 신경쓰지 말고 분명하고 이해하기 쉽게 쓸 것을 헤밍웨이를 예로 들며 거듭 강조하고 있다.

기억해 둘 만한 것 몇 가지:

1. '외계인 창조하기' 챕터-외계인을 만들(?)때는 지구에 있는 생물을 따르라는 Cohen박사의 말을 인용한 부분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부분이다. 물론 일종의 은유로서 전혀 새로운 외계인을 만들 수도 있겠지만, SF에서 중요한 것은 '신빙성'이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지구에 없으면서 생물학적 및 화학적으로 타당하고 독자가 '믿을 수 있는' 외계인을 완전히 새로이 창조하려면 상당한 배경 지식을 필요로 한다.

2. 한 문단마다 이야기를 전진시키는 문장이 최소한 하나는 반드시 있어야 한다는 말도 신경써 둘 만 했다. 아무리 마음에 들어도 이야기에 쓸모가 없으면 과감하게 빼란다.

3. 보통 글을 쓸 때는 몇 가지 사건을 염두에 두게 된다. 인덱스 카드에 마음 속에 생각한 장면 하나 하나를 한 문장 정도로 간단한게 쓴다. 예를 들어 "커크 함장이 장군과 말다툼을 한다.", "스코티가 셔틀에서 사고를 당한다." 처럼 각 카드마다 생각나는 대로 죽 써 놓고, 탁자 위에 카드를 사건 순서대로 배열해 본다. 그런 다음 각 카드 사이가 매끄럽게 넘어가는지, 어떤 순서가 효과적인지 보고, 필요 없을 듯한 카드는 빼고, 가운데가 빈 듯 한 부분에는 새로운 사건을 추가한다. 컴퓨터로 생각나는 사건을 쓰는 개요 방식도 많이들 쓰지만, 제롤드는 물리적인 '시각'으로 글의 페이스를 읽을 수 있다는 점에서 아날로그 방식으로 이 작업을 해 볼 것을 권하고 있다.

4. 글에는 2.5개의 스토리라인이 들어가야 한다. 2가지의 메인 사건과 그 밑을 흐르는 0.5 짜리 서브라인.

5. 글 안에 들어가서 써라. 자신이 생각한 특정 아이디어나 미래 기술 따위에 집착하면 글의 초점이 흐려진다. 예를 들어, 우리는 '문은 나무로 된 두께 7cm정도의 판자로, 회색 페인트가 칠해져 있었다. 그는 금색 도료로 코팅이 된 금속 재질의 원형 손잡이를 오른쪽으로 돌려 잠금을 푼 다음 문을 안으로 밀었다.'고 쓰지 않고, '그는 문을 열고 안으로 들어갔다.'고 쓴다. 생각한 시대와 기술이 어느 정도의 설명을 필요로 하는지 고민하고, 가능하면 '설명'을 하지 말고 '보여' 줘라.


그 외 이런 저런 기억해 둘 만한 부분이 적잖게 있었지만, 중반부터는 긴장감이 떨어지는 챕터도 여럿 있었다. 특히 뭔가 실제적인 조언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기대했던 '섹스신'과 '러브신' 챕터는 그냥 자기 소설만 잔뜩 인용해 놨더라. 무척 실망했지만, 이런 책에서 꼼수를 얻어 보려고 한 나도 좀......그러고 보니 예전에 '꼼수퇴치법'이라는 책을 사서 각종 꼼수를 열심히 외워 쓰다가 실력자에게 간파당하고 크게 반성한 적이 있었지.......


전체목차: http://www.amazon.com/gp/sitbv3/reader/ref=sib_dp_bod_toc/002-8154936-4685662?%5Fencoding=UTF8&pageID=S003&asin=1582970076

댓글 없음:

댓글 쓰기